본문 바로가기
심리 이야기

의존성 성격 장애의 의미, 원인과 치료 방법

by 코트니타샤 2022. 6. 17.
반응형

 

우리는 요즘 들어 성격장애에 대해서 많이 들어볼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성격장애들이 드라마나 영화에 많이 비치곤 하는 이유도 있거니와, 이런 성격장애를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이유도 있습니다. 여러 가지 성격장애 중 하나인 '의존성 성격장애' 다른 말로는 '의존형 성격장애'라고 불리는 성격장애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의존성 성격장애란 무엇인가? 

 의존성 성격장애라는 것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욕구가 일반 사람들에 비해 지나치게 커서 자신의 의존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주변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매달리고, 자신의 의존적인 욕구가 거절될까 봐 타인이 무리한 요구를 하더라도 이를 응해주고, 순종적으로 반응해주는 인격장애를 말합니다. 이성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주변 사람들로부터 헤어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분리불안이나 불안정한 대인관계를 흔히 보이기도 합니다. 의존성 성격 장애를 가지 사람들은 대부분 낮은 자존감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자신을 자책하거나 스스로를 깎아내리는 경향을 보이며, 자기주장을 거절당할까 봐 제대로 말하지 못하고 상대방에게 맞춰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다 보니, 언뜻 보기에는 그저 '착한 사람'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서 의존성 성격장애는 자신은 낮추고 맞춰주는 과정에서 대인관계에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폄하하고 자신을 자책하는 경향을 계속 보이기 때문에 그저 착한 사람과는 많이 다릅니다. 

 이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자신이 어떤 선택을 내리지 못하고 주변인이나 부모님 혹은 자신의 중요한 사람에게 그 결정을 떠맡깁니다. 그래야 마음이 편안한 것입니다. 자신의 인생의 중요한 결정을 할 때도 자신의 의견보다는 타인의 의견이 더 중요합니다. 자신의 자존감이 매우 낮은 이유도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결정대로 했다가 타인이 떠나버릴까 봐 하는 불안감도 한몫합니다. 그래서 어찌 되었던 의존성 성격장애는 결정을 자기가 스스로 잘하지 못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맡기게 되고, 항상 다른 사람들에게 결정을 맡기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많은 조언을 들은 후, 비로소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독립적인 생활을 제대로 영위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변 사람의 지지나 동의를 잃는 것이 두려워 반대 의견을 표현하지 못하고, 자신의 능력이나 판단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어떤 일을 스스로 시작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겪습니다. 하기 싫고 불쾌한 일일지라도 다른 사람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그 일을 떠맡아하기도 합니다. 

 또한 자신을 스스로 돌볼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움 때문에 혼자 있을 때면 무력감을 느끼게 되며, 자신을 지지해주고 돌봐주던 사람과의 관계가 끊어지면 그 사람을 대체한 새로운 사람을 급히 찾으려 합니다. 항상 스스로를 돌보아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자시 스스로의 두려움에 집착하게 됩니다. 

 

2. 의존성 성격 장애의 원인

 의존성 성격장애의 원인은 초기 아동의 애착관계에서 형성된 애착 관계가 불안정한 애착 관계로 형성이 되어서 이러한 성격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불안정한 애착 관계가 형성된 아동은 다양한 성격장애로 성인이 된 후에 발현이 될 수가 있는데 필자의 앞서 포스팅에 의하면, 경계선 인격장애 또한 불안정한 애착 관계가 그 원인 중 하나로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불안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가 훈육에 일관되지 않고 과보호하며 훈육하는 성향의 양육자 밑에서 자라는 경우에도 이러한 불안정한 애착 관계가 형성되기 쉽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의존성 성격장애의 치료

 의존성 성격장애를 치료할 때는 정신과적인 상담치료가 병행이 됩니다. 이때 의존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상담 도중 의사나 상담자에게 의존을 하게 될 가능성이 큰데, 이를 가장 중요시하고 조심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의존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그들이 겪고 있는 불안감의 원인에 대해 탐색하고 직면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혹은 이러한 불안감의 원인을 탐색하는 과정을 위해 인지행동적 치료 방법을 이용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환자의 인지 가능성, 상담에 대한 이해능력 등에 따라 상담을 운영하는 방식은 모두 다르니 이 점 역시 때때로 달라질 수는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